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당뇨쌀 카무트 효능 부작용 섭취방법

by º※†a▩ 2021. 10. 4.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당뇨쌀로 불리는 카무트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카무트는 고대 이집트에서부터 재배된 곡물의 한 종류로 알려져 있습니다. 호라산 밀이라 불리는 고대 곡물로 당뇨 예방 및 혈당 관리 등에 도움을 주는 음식이라고 합니다. 그럼 카무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카무트 효능

-카무트 부작용

-카무트 섭취방법

 

 

1. 카무트 효능

먼저 카무트에 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설명드리기 전, 제 포스팅에 기재하는 내용은 전문적인 의학지식이 없는 일반인이 작성한 글입니다. 오류가 있을 수 도 있는 점 먼저 말씀드립니다. 

 

 즉 작성된 내용들은 정확성 및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으니 참고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알아가시길 바랍니다.

 

카무트는 세계 10대 슈퍼푸드 중 하나로 강력한 항산화제로 알려져 사랑받고 있습니다. 셀레늄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가서 셀레늄의 제왕이라고도 불립니다.

편의상 카무트 쌀로 불리는 경우도 있지만, 정체는 쌀이 아니라 글루텐 단백질이 들어간 밀이라고 합니다.

 

 

미국 타임지에서 카무트를 가장 건강한 식품 50가지 중 하나로 선정하였습니다. 가장 건강한 식품 50가지에 들어갈 정도면 대단하죠? 그리고 우리나라의 농촌진흥청에서도 주목해야 하는 곡물 10가지에 포함되었다고 해요.

그럼 주요한 카무트 효능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볼게요.

 

 

카무트에는 단백질, 마그네슘, 비타민, 베타카로틴 등을 포함한 18종의 다양한 영양소가 고루 함유되어 있다고 해요. 미네랄 중 강력한 항산화 물질인 셀레늄이 마늘, 현미 등 곡물에 비해 약 3~4배 많은 양이 함유되어 항암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1) 카무트 효능

 

-당뇨예방에 도움

곡물 중 GI지수가 40이라고 해요. 흰쌀, 현미밥보다 적은 편이며 GL 지수 역시 16으로 백미의 절반 수준입니다.

GI지수는 음식물 섭취 후 음식물 속의 영양소가 포도당으로 변하는 시간을 고려하려 산출해낸 값이에요.

혈당 지수가 낮은 카무트 쌀과 일반 밥을 하실 때 함께 넣어서 하시면 혈당 조절에 도움 된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 노화 예방에 도움

카무트 속 성분 중 셀레늄은 세포막 손상을 일으키는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성분이 들어 있어서 노화 억제에 효과적입니다.

 

출처 : 나는몸신이다

 

2. 카무트 부작용

 

 

풍부한 성분인 셀레늄 과잉 섭취 시에는 복통, 설사, 구토를 유발한다고 합니다. 카무트 적정량은 80g에서 100g 정도이라고 하니 적정량을 지켜 먹는 것을 권장합니다.

 

 

3. 카무트 섭취방법

1) 카무트 미숫가루

카무트 섭취 방법 중에 카무트 가루 형태로 섭취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곱게 간 카무트 가루 형태로 미숫가루처럼 먹을 수 있습니다. 우유에 곱게 간 카무트 가루를 1스푼에서 2스푼을 넣고 잘 섞어주면 든든한 카무트 선식, 미숫가루가 완성됩니다.

 

2) 카무트 밥

카무트 섭취 방법 중 밥으로로 섭취가 가능합니다. 보통 백미와 카무트를 8:2의 비율로 함께 넣으시면 됩니다. 카무트가 다른 곡물보다 수분을 덜 흡수하니 평소보다 물을 조금 더 적게 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상으로 카무트 효능 부작용 섭취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작성하였습니다. 카무트 정보 포스팅을 통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심장마비 전조증상, 위험요인 및 예방법 알아보기

심장은 우리의 신체기관 중 가장 핵심적인 신체부위라 할 수 있습니다. 잘 뛰던 심장이 멈추게 되면 우리는 사망에 이르는데요. 심장과 관련된 질환은 언제 일어날지 아무도 모르는 일이어서 더

emrmine95.tistory.com

 

 

오른쪽 옆구리 통증으로 의심할 수 있는 질환 3가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오른쪽 옆구리 통증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잠시 통증이 있다가도 조금 지나면 괜찮아져서 병원을 안 가시는 분들도 많이 계실 텐데요. 여

emrmine95.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