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정보

제로트러스트 개념 특징 실제사례

by º※†a▩ 2023. 9. 1.
반응형

요즘 보안 문제가 심각하죠? 이번 포스팅은 '제로 트러스트' 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란?

컴퓨터 보안 및 네트워크 보안의 접근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이 개념은 기존의 신뢰 기반 보안 모델을 변화시키고, 모든 사용자,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에 대한 미신뢰를 가정합니다.


제로 트러스트 모델의 3가지 특징

1. 최소 권한 원칙
제로 트러스트는 사용자나 디바이스에게 최소한의 권한만을 부여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권한을 확장합니다. 이로써 내부 공격을 방지하고 데이터 노출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2. 신뢰하지 않음
모든 네트워크 트래픽 및 사용자 활동은 미신뢰로 가정하며, 신뢰된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 간의 경계가 흐려집니다. 이는 공격자가 내부에서도 움직일 수 없도록 합니다.

3. 다중 계층 보안
제로 트러스트는 다층적 보안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네트워크, 엔드포인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 각 요소에 대한 보안을 통합적으로 강화합니다. 이로써 종합적인 보안 전략을 갖출 수 있습니다.

제로 트러스트 모델은 현대의 보안 환경에서 더욱 안전한 접근 및 데이터 보호를 위한 중요한 접근 방식 중 하나로 간주되며, 기업과 조직에서 채택하고 있는 보안 패러다임 중 하나입니다.



제로 트러스트 실제 사례

1) Google
Google은 내부와 외부 네트워크 간의 신뢰를 제거하고 제로 트러스트 보안을 도입한 기업 중 하나입니다. Google의 BeyondCorp라는 제로 트러스트 프레임워크는 사용자 및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과 접근 제어를 강화하고, 모든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신뢰하지 않고 검증합니다.


2) Dropbox
파일 공유 및 저장 서비스인 Dropbox도 제로 트러스트 보안 모델을 도입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Dropbox의 보안 접근 방식은 사용자와 디바이스 인증, 데이터 암호화, 엄격한 엑세스 제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제로 트러스트를 채택함으로써 내부 및 외부 보안 위협으로부터 더욱 효과적으로 데이터와 리소스를 보호하고, 사용자와 디바이스의 신뢰를 미리 가정하지 않고도 안전한 접근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제로 트러스트에 대해 알려드렸는데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